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오늘의 포스팅은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에 대해 이야기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저는 몇 주 후에 퇴사를 할 예정인데요, 새로운 업무를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면서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을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생각보다 쉽고 간단하게 신청할 수 있을 것 같더라고요. 퇴직이 확정되면, 저도 해볼 예정입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에 열심히 알아본 만큼, 이 포스팅을 보시는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그럼 국민내일배움카드에 대해 아래 목차로 알아보겠습니다.

 

  1. 국민내일배움카드란?
  2. 국민내일배움카드 지원대상 및 지원한도
  3.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출처 : https://www.hrd.go.kr/

 

1. 국민내일배움카드란?

 

국민내일배움카드는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고 급격한 기술 발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사회 안전망의 차원에서 생애에 걸친 영량개발 향상 등을 위해 국민 스스로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훈련비 등을 지원하는 카드를 말합니다. 따라서 기존에 실업자와 재직자로 구분해왔던 내일배움카드를 통합한 카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은 재직자와 실업자 뿐만 아니라 교육을 희망하는 모든 국민들에게 가능하므로써, 국민의 삶의질과 역량을 높여나갈 수 있는 제도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직업훈련포털 공식 홈페이지

 

 

2. 국민내일배움카드 지원대상 및 지원한도

 

1) 지원대상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의 지원대상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일정 제약이 있는데요, 사립학교 교직원, 현직 공무원이나 졸업예정자 이외의 재학생, 월 임금이 300만원 넘는 대규모의 기업 종사자(45세 미만), 연 매출이 1억 5천만원이 넘는 자영업자 등은 제외가 되게 됩니다.

 

 

2) 지원한도

1인당 최소 300에서 최대 500만원까지 지원이 됩니다. 지원 시 교육비의 45%에서 85%를 지원합니다.

140시간 이상 수강하는 경우, 훈련 장려금이 월 최대 116000원 입니다.(21년 한시 월 최대 30만원입니다.) 물론, 훈련 장려금을 지원받기 위해서는 단위기간(1개월)별 출석률이 80%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때, 일반고등학교 특화과정에 참여하거나 국민내일배움카드의 훈련과정에 참여하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 등 의 특별 훈련수당은 제외되게 됩니다.

 

 

3) 지급기간

카드의 유효기간은 계좌 발급일로부터 5년입니다.

 

 

4) 중복불가 서비스

재정 지원 일자리 사업이나 정부 재정 지원 훈련 등은 중복지원이 불가능합니다.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추가적인 궁금사항은 고용노동부 공식홈페이지를 참조해주세요.

 

 

 

3.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1) 직업훈련포털(HDR-Net) 에 접속한 후 회원가입을 합니다.

 

직업훈련포털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은 먼저 공식홈페이지로 들어가신 후 회원가입을 진행하셔야합니다.

 

출처 : 직업훈련포털 공식 홈페이지

 

저희처럼 개인인 경우에는 개인으로 회원가입을 진행해주셔야겠지요?

개인회원을 누르면 One-ID 생성을 하라고 나옵니다. 고용노동서비스 One-ID에 가입하시겠습니까?에 "예"를 눌러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출처 :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

 

2) My서비스 / 회원서비스 관리 / 공인인증서 등록,변경 탭에서 공인인증서를 등록해주신 후,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해주셔야 합니다.

 

 

3) 이후, 메인 페이지에서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을 통해 신청하시면, 발급절차가 아래와 같으니 참고부탁드립니다.

출처 :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

 

 

이상으로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 또한 차월쯤에는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실제로 제가 직접 사용을 해보면서, 알려드릴만한 좋은 교육이나 방법이 있으면 추가로 포스팅을 진행하여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국민내일배움카드를 통해서 무슨 강의를 들을지 고민해봐야겠습니다.

 

 

 

댓글